패혈증이란?
패혈증(Sepsis)은 체내 감염이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켜 장기 기능 부전이나 쇼크를 초래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감염이 혈류를 통해 전신으로 확산되면서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반응하고, 이로 인해 장기 손상과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필수적이며, 방치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 패혈증의 원인 및 관련 질병
1) 패혈증을 유발하는 주요 감염원
✅ 폐렴: 폐에서 발생한 감염이 혈류로 확산되며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요로 감염(UTI) : 신장이나 방광 감염이 혈류를 통해 전신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 복강 내 감염: 충수염(맹장염), 복막염, 장 천공 등 복강 내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감염: 수술 부위 감염이 심각해질 경우 패혈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패혈성 관절염: 관절 내 감염이 혈류를 통해 확산되며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패혈증을 유발하는 고위험군
✅ 면역력이 약한 환자: 암환자, 장기 이식 수술 후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HIV/AIDS 환자 등
✅ 만성질환 환자: 당뇨병, 신장병, 간경화 등의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
✅ 노약자 및 영유아: 면역 체계가 미숙한 영유아와 면역력이 약화된 고령자는 패혈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 입원 및 중환자실(ICU) 치료 환자: 장기간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인공호흡기 및 카테터를 사용하는 환자는 패혈증 발생 확률이 증가합니다.
3) 패혈증을 유발하는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 박테리아: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진균 등
✅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RSV)등
✅ 곰팡이: Candida(칸디다) 감염에 의한 진균성 패혈증
2. 주요 증상
1) 초기 증상
패혈증은 감염 초기에는 일반적인 감기나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급격히 악화됩니다.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열 또는 저체온 (38.3°C 이상 또는 36°C 이하)
✅ 심박수 증가 (빈맥)
✅ 호흡 곤란
✅ 혼돈 및 방향 감각 상실
✅ 심한 피로감
2) 중증 패혈증의 진행
패혈증이 심해지면 다발성 장기 부전과 쇼크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집니다. 중증 패혈증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혈압 저하 (쇼크 상태)
✅ 소변량 감소 (신장 기능 저하)
✅ 피부 창백 또는 푸르스름한 변색
✅ 출혈성 발진
✅ 의식 저하 및 혼수상태
3) 패혈성 쇼크의 징후
패혈성 쇼크는 패혈증이 심각한 단계로 진행된 상태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며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가 지연될 경우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3. 치료법
1) 신속한 항생제 치료
패혈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항생제 투여입니다. 일반적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먼저 투여한 후, 혈액 배양 검사 결과에 따라 감염균에 맞는 항생제로 교체합니다.
2) 수액 및 혈압 유지 치료
패혈증 환자는 혈압이 급격히 낮아질 위험이 있으므로, 정맥 내 수액 공급을 통해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이 지속적으로 낮을 경우 혈압 상승제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3) 산소 공급 및 호흡 보조
호흡 곤란이 심한 경우 산소 치료가 필요하며, 심각한 경우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으며 혈중 산소 포화도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4) 신장 및 장기 기능 유지
패혈증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 투석이 필요할 수 있으며, 기타 장기 부전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 및 치료법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결론
✅ 패혈증은 빠르게 악화될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백신 접종, 상처 관리 등을 철저히 하고, 고위험군은 감염 발생 시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패혈증의 위험성을 알고 초기 증상을 신속히 인지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 다음글:독감